본문 바로가기

IT관련정보/윈도우

윈도우10 SSD IDE모드에서 AHCI로 변경하는 방법

이미 윈도우가 설치 된 상황에서 SSD 저장장치 구성을 IDE모드에서 AHCI모드로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SSD를 사용할 때 AHCI모드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AHCI모드를 사용 할 경우 TRIM이라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SSD가 빠쁘게 동작하고 있지 않을 때 스스로 불필요한 캐쉬나 데이터를 정리하는 기능이라고 하는데요,


그냥 IDE모드로 사용하면 정해진 셀안에서 데이터 읽기,쓰기를 반복하기 때문에 SSD의 기대수명이 낮아진다고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얼마전에 SSD를 포멧 후 윈도우10을 설치 했는데요.


무슨 이유에서 인지 AHCI모드에서 포멧이 제대로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BIOS에서 IDE모드로 변경후 정상적으로 포멧과 윈도우 설치를 완료했는데요, 설치완료 후 다시 IDE모드에서 AHCI모드로 변경 한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시작' 버튼을 누른다음에 regedit명령어를 입력하여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 했으면 HKEY_LOCAL_MACHINE -> SYSTEM -> CurrentControlSet -> Service -> storahci -> start 값 0으로 변경을  해주시면 됩니다.



아마 기존에 IDE 모드 였다면 Start 값이 3으로 되어 있을 것입니다. 해당 값 데이터를 0으로 변경해줍니다.


아 그리고 윈도우10 버전마다 경로가 약간 차이가 있을 수가 있는데요, 위에 알려드린 경로가 없으시다면


HKEY_LOCAL_MACHINE -> SYSTEM -> CurrentControlSet -> Service -> storahci -> StartOverrride 값을 0으로 변경 해 주시면 됩니다.


여기까지는 윈도우 상에서 레지스트리 값 변경을 해준 것이구요, 이제 BIOS 상에서 설정을 변경 해줘야 합니다.



윈도우를 다시시작을 누른다음에 윈도우가 켜기지전에 F2 또는 Delete 키를 연타하여 위와 같은 BIOS 설정 화면으로 진입합니다. 


(메인보드에 따라서 화면 구성이 저와 다를 수 있지만 대부분 메뉴는 비슷합니다.)


'저장장치 구성' 메뉴를 클릭합니다



SATA모드 선택에서 AHCI를 선택합니다.



해당 내용을 저장한 후 종료를 합니다.


BIOS 설정 창을 종료시키면 자동으로 재부팅 됩니다.



다시 부팅을 하여 장치관리자에서 보면 SSD의 SATA모드가 AHCI로 변경 된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문제 없이 따라하셨다면 SSD SATA모드를 정상적으로 AHCI모드로 변경 된 것입니다.


해당 내용에 대해 정보를 알아보다가 보니 AHCI모드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BIOS에서 먼저 모드를 변경 하고 윈도우를 재설치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는데요,


굳이 윈도우를 재설치 하지 않고도 충분이 AHCI모드로 바꿀 수 있었네요.


따로 궁금하신 사항이나 잘못된 사항이 있으면 지적해주세요!



 '공감' 버튼 을 꾹~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