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되는정보

사회초년생 적금으로 종자돈 모으는 방법

처음 취업을 하고 고정적인 월급이 생기게 되면 사회초년생들은 이 돈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일반서민들이 하기 쉽고 안전한 재테크는 바로 은행 적금입니다. 사회초년생들이 종자돈을 안정적으로 모을 수 있는 팁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적금통장은 여러개를 만들자!



예를 들어 매달 100만원을 적금에 붓는다고 했을 때 하나의 적금상품에 몰아 넣으면 안됩니다. 물론 금액이 클 수록 많은 이자를 기대 할 수는 있겠지만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부득이하게 큰 돈을 써야만 할 때가 생기기 마련입니다. 


예를 들어 자기 자신이나 가족들이 큰 병에 걸려서 치료비가 많이 들어간다거나 예상치 못한 빚이 생긴다거나 하는 일이 발생했을 때 적금을 깨버린다면 적금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적금상품은 3개 정도로 나누어서 (예를들면 20만원, 30만원, 50만원) 비교적큰돈 쓸 일이 발생했을 때 손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대비책을 만들어 두어야 합니다.


2. 용도별로 통장을 만들자



매달 적금이 자동이체가 되고 월급통장의 체크카드만 사용한다면 자신도 모르게 과소비를 하게 될 수 있습니다.




적금통장 외에 고정지출통장,일반사용통장,비상금 통장을 따로 개설합니다. 고정지출통장에는 통신비 , 신용카드 할부금 , 보험료 , 교통비, 식비 등과 같은 비교적 고정적으로 지출이 되고 지출금액이 예상되는 항목들에 대한 금액을 미리 넣어둡니다. 그리고 비상금 통장은 월급의 5~10%정도를 따로 모아두어 급할 때만 사용도록 합니다. 이렇게 고정적인 지출금액과 비상금을 미리 빼두어야 과소비를 막을 수 있고 안정적으로 종자돈을 모을 수 있는 기반을 만들 수 있습니다. 


3. 나에게 맞는 적금상품에 가입한다.



적금상품마다 이율이나 혜택이 천차만별입니다. 은행에는 해당은행계좌를 월급통장으로 사용하는 고객에게 이율혜택이 있는 적금 상품이 있기 마렵입니다. 그런 적금상품에 가입은 필수이며 제가 예전에 알아본 고이율 적금중에는 장애인,기초생활 수급자인 경우 우대해주는 웰컴디딤돌적금이라는 상품도 있었습니다. [돈되는정보] - 웰컴디딤돌적금 최고금리7.4%로 직장인 재테크시작하기  


사실 이러한 적금상품은 일반인이 자주 애용하는 1금융권 은행에는 많지도 않을 뿐더러 미리 알아가지 않는 이상 세세하게 설명해주지 않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최근 한국금융센터에서는 24세이상 53세 미만의 일반 직장인을 대상으로 무료로 재테크 상담을 해주고 있습니다.

 [한국금융센터 - 무료재무설계상담]


이런 기관에서 상담신청을 하면 자신의 나이,소득 수준에 맞는 재테크 방법을 추천받을 수 있기 때문에 직접 발품 파는 것보다 훨신 편리하게 알아 볼 수 있습니다.


여기 까지 종자돈을 모으기위한 사회초년생의 적금관리 팁에 대해서 포스팅 해 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더 알찬 돈되는정보를 들고 오겠습니다!



이 게시물에는 제휴마케팅 링크가 포함되어 있어 일정 커미션을 받을 수 있습니다.